▲ 남해환경센터 하용근 사무국장이 남해읍 심천마을회관에서 남강댐과 관련한 남해지역의 피해 등에 대해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명하고 있다.

 

“목을 내놓고 반대한다.”
남해 강진만에서 27년간 양식업을 했다는 한 노인. 남해환경센터가 지난달 22일부터 시작한 ‘강진만 어촌계 순회 설명회’에서 노인은 남강댐 수위 상승으로 부산물 공급이 현실화 될 경우에 ‘반대’의 입장을, ‘목을 내놓고’란 표현까지 하며 목소리를 높였다.

환경센터는 여기에 남강댐 수위 상승의 포기 이유라고 일컬어지는 지리산(함양댐) 건설의 문제도 중점 거론했다.
강진만이 삶 자체인 어민들의 말은 현장에서 더 또렷했고 더 격렬했다.

남해환경센터는 이와 함께 강진만을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하자”는 의견도 주민들을 통해 말하고 있었다.
지난 2일 7번째 순회설명회가 있었던 심천마을회관. 주민 30여명은 남해환경센터의 빔프로젝트와 자료 배포 이후 시작한 설명회에서 같은 목소리로 우려를 나타내곤 했다.
이미 끝난 설천면 월곡 감암 노량 왕지 동흥 문항 고사 진목, 고현면 동도마 이어마을 등지의 반응도 비슷했다.

환경센터 하용근 국장은 지난 5일 이후 삼동면 등지의 설명회에서 “정부 고위관계자가 남강댐 높이를 높이지 않는다고 한 이유는 함양에 새로운 댐을 만들려는 것”이고 “이때 남강댐엔 강진만 쪽 보조여수로를 만들어 홍수시 강진만으로 집중 방류하게 돼 남해의 피해는 댐을 높이는 것과 상관없이 엄청나다”고 강조했다.

하 국장은 또 “남강댐 물의 여유수량이 없어 부산물 공급시 하루 1만톤이상을 공급받는 남해의 입장에선 우려된다”며 “지리산댐을 만들어 역시 부산에 물을 공급하겠다는 것인데 남해 물 부족 사태를 막기 위해 정부 정책을 반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환경센터 조세윤 대표의 설명이 있었다.
조 대표는 “남강댐 방류 문제는 크게 고기를 잡을 수 없게 되고 부산물공급시 갑작스런 물값 상승 가능성” 등을 이야기 한 뒤 “350만의 부산과 인구 5만의 남해와 비교할 때 정부는 부산의 입장을 들어줘 남해는 어렵게 된다”고 말했다. 또 “사천 인구는 12만명이지만 어업 인구는 3325명 2.9%이고 남해는 인구 5만에 어업인구는 13.1%, 6672명인데 어디가 더 큰 피해를 입게 되냐”고 말하기도 했다.

조세윤 대표는 이와 함께 대안으로 “강진만을 습지 보호구역으로 지정”을 말하기도 했다.
조 대표는 “인근 설천 문항 마을이 체험마을을 통해 연간 10억대의 수입을 올리고 있다”며 “지역 주민의 취업 기회와 소득이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 대표는 이어 “습지보호지역이 되면 갯벌 매립이 금지되고 흙모래 자갈 등의 채취가 금지되지만 지역주민들의 영농과 어로행위는 제한이 없다”는 등의 내용을 설명했다.

환경센터는 2일 남해읍 심천마을에 이어 같은 날 동산마을 설명회를 이어갔고 3일은 선소 토촌 등지의 설명회를 열었다. 3월4일 이동면 초양 광모마을에 이어 삼동면 창선면 등지의 순회설명회를 개최했거나 열 예정이다. 설명회 시간은 오후 4시, 오후 7시 하루 2차에 걸쳐 진행되고 있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