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군의 인구감소와 관련된 우려의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다시 귀농정책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는 그동안 행정당국이 폈던 주민등록 주소지 옮기기와 같은 단편적이고 임기응변식의 인구대책과는 차별화된 관점에서 고려의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지금 이 시점에서 귀농정책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은 단순한 인구증가 시책의 일환으로서 의미만은 아니다. 남해의 특성 즉 농어촌 중심, 1차산업 위주의 산업구조, 관광산업의 육성 과제라는 여러 가지 면을 고려해 볼때 귀농정책이 남해의 발전전략 가운데 하나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북 진안군의 경우 ‘귀농 1번지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귀농귀촌활성화센터’까지 설립해 농어촌 지역으로 돌아가기를 원하는 도시인들이 다수 정착하도록 만들었다. 지난 한해만도 159가구 414명이 진안군에 정착했다는 소식이다. 이는 남해보다는 귀농 여건이 좋은 하동군의 208명에 비해서도 두배나 되는 인원이며, 남해의 45명에 비하면 10배나 된다.
이것은 단순한 숫자노름이 아니라 2차산업 여건이 좋지 않은 남해에서 눈여겨 보아야 할 대목이란 것이다. 남해의 경제 활성화, 인구 증대는 대형 산업체가 덜컥 들어서게 해서 해결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물론 대형 산업체가 들어서면 큰 기여를 하겠지만 현재의 여건이 산업체 유치가 어려운 상황이고, 설사 산업체의 유치가 되더라도 농어촌이라는 남해의 특성을 최대한 살려나가는 방안을 연구해야 한다는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남해의 경제를 위해 조선산업단지와 같은 대형 산업체의 유치를 바라는 마음도 분명히 이해할 수 있지만 기존의 산업과 자연여건을 잘 활용하여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도록 만드는 일이 우선 뒷받침되어야 한다.
젊고 활기찬 젊은이가 귀농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지원책을 펴는 것과 함께 은퇴한 도시인이 정착할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하는 것도 남해에서는 신중히 검토해 볼 대상사업일 것이다. 전라남도의 경우 은퇴자도시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각 군 단위에 지구단위계획을 세워 은퇴자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것도 눈여겨 볼 대목이다. 노동가능 연령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현실에서 실버타운같은 사업보다는 한 단계 더 발전한 정책이 은퇴자가 정착하여 노동과 여가를 동시에 영위하도록 만드는 것이기 때문이다.
관광산업 활성화 역시 기본 동력 즉 일 할 사람이 있어야 가능하다는 점에서도 도시인의 귀농을 적극 추진해 볼 가치가 있다. 인력난이 심하고 기본 경제활동 인구가 줄어들고 있는 시점에서 적극적인 귀농, 도시인 정착프로그램 운영을 고려해야 할 시점이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