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는 언제나 희망을 갖게 한다.
그러나 기축년 끝자락에서 새롭게 떠오를 경인년을 생각하면 여러모로 걱정이 앞선다.
조합장 선거가 줄줄이 예약돼 있는 데다 6월 2일은 지방선거가 치러지기 때문이다.
크든 작든 선거 때마다 지역신문에는 주민 간의 갈등, 세력 간의 갈등,  음해성 유언비어, 선관위 조사, 경찰 조사, 법원 출두 등의 단어가 늘상 등장해 왔다.
더 나은 발전을 위한 통과의례(通過儀禮)라고 생각하기에는 갈등의 여파가 단순하지 않았고, 그 갈등은 종종 화해할 수 없는 앙금으로 남아, 적(?)으로까지 간주되는 수준에 도달한 듯하다.
사람 사는 사회에는 어쩔 수 없다고 말하기에는 우리사회가 풀어야 할 과제들이 너무나 많다.
이런 갈등과 앙금들로는 ‘열악한 재정구조’‘인구 4만대 추락’‘군민소득 1000만원 이하’‘낙후지역’‘먹고 사는 문제’‘지역경제’등의 단어들을 해결해 낼 수 없다.
너와 내가 힘을 합해도 모자랄 판에 당선을 위한 전력 낭비와 선거후 그 파장들이 너무나 컸고 오래 지속되어 왔다.
30년 전부터 현재까지 산업구조의 변화는 거의 없었던 반면 인구수는 지속적으로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무엇이 잘못된 것인가? 남해사회와 남해의 미래를 진정으로 걱정하고 대안들을 찾았지만 주어진 여건상 불가피했을까.
이제는 특정인을 뽑는 선거가 아니라 ‘남해인의 남해발전’을 위한 선거가 되어야 한다. 그 중심에는 주민의 ‘먹고 사는 문제 해결’이라는 화두가 핵심이 되어야 한다.
생각의 중심에 언제나 ‘남해인과 남해당’을 가진 지도자들이 선택받을 수 있도록 선거의 주인인 주민들도 깨어나야 한다.
남해사회는 소수의 몇몇 사람이 아니라 말없는 다수가 지탱해온 사회다.
남루한 옷으로 마늘밭, 시금치밭, 바다로 향하는 그들의 얼굴에 미소를 줄 수 있는 남해의 선거문화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남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